오늘 소개할 선수는 한때 PGA 최고의 장타자이자 필드 위의 악동이라 불렸던 존 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966년 4월 출생인 존 패트릭 댈리는 5살부터 골프를 시작했습니다. 그의 어린 시절에는 아버지가 건설 노동자로 일하면서 자주 이사를 다녔는데요. 그가 4살이 되던 해에 아칸소 주 다르데넬로 이사하였고, 거기에 위치한 골프 클럽에서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린의 풍운아 존댈리
어린 시절 당대 최고의 선수였던 잭 니클라우스를 동경하던 존 댈리는 13살 지역 스프링 클럽 내에서 열린 챔피언십 대회에 나가 성인 남성들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는데요. 그 덕분(?)에 클럽에서는 주니어는 제외하고 참가하는 것으로 규정을 변경했다고 하네요.
그의 고등학생 시절인 1983년에는 미주리 주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우승하였고, 그다음 해에 열린 아칸소 주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한 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984년 아칸주 대학에 골프 장학생으로 입학하였으며, 1987년 대학 학위를 포기하고 프로로 전향하게 됩니다. 그는 미주리 오픈 대회에서 첫 우승을 하였고, 근 3-4년 동안은 미국 내 중소규모의 골프 대회에 참가하면서 프로 경력을 쌓아갔습니다.
1991년 생애 처음으로 PGA 투어에 참가하게 되었는데요. 그해 열린 메이저 대회 PGA챔피언십에서 닉 프라이스라는 선수가 불참하는 바람에 대신 출전하게 되면서 브루스 레츠케를 3타 차로 따돌리며 우승하였고 이는 엄청난 파란을 일으켰습니다. 그 해 PGA 투어 신인왕은 그에게 돌아갔지요.
180cm의 키에 110kg이 넘는 뚱뚱하고 거대한 체구에는 어울리지 않은 부드럽고 유연한 스윙으로 엄청난 장타를 날리는 그를 사람들은 롱 존이라고 불렀습니다. 그가 처음 투어에 참가하 1991년 이후부터 12 시즌 동안 드라이버 티샷 비거리 부분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게다가 자유분방한 모습과 화려한 패션으로 필드에 나서면서 대중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았지요.
1995년에는 또 다른 메이저 대회인 브리티쉬 오픈 (디 오픈) 대회에 참가하여 우승하면서 화려한 외모만큼이나 뛰어난 실력을 선보였습니다. 그는 지금까지 PGA 투어 통산 5승을 달성했는데 두 번이 1991년과 1995년 우승한 메이저 대회였습니다.
이처럼 PGA 투어에 참가하자마자 메이저 대회를 석권하고 또 다른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뛰어난 실력으로 승승장구할 것 같은 선수였지만, 자유분방하고 기분파였던 그의 성격으로 인해 많은 구설수에 오르며 골프계의 악동으로 불렸습니다.
담배를 입에 물고 필드에서 스윙하는가 하면 캘러리가 플레이를 방해했다고 하여 갤러리의 카메라를 부서 버리기도 했습니다. 또한 경기가 잘 안 풀리면 클럽을 해저드에 던져버리거나 아예 경기장을 떠나는 경우도 있었고요.
한 가지 유명한 일화로 2011년 원 아시아 투어 호주오픈 대회에 참가했는데 근처 연습장에서 날아온 볼을 자신의 볼이라 착각하고 치는 바람에 2벌타를 받았습니다. 이에 대해 그는 흥분했던 탓에 다음 홀에서 무려 7개의 볼을 연속해서 해저드에 빠뜨렸는데 더 이상 칠 공이 없다고 하면서 시합을 포기하고 떠났다고 하네요.
존 달리는 골프 외에 사생활에도 많은 문제가 있었는데요.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3번이나 요양시설에 입원하기도 했고, 도박에 빠져 수천만 달러를 탕진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카지노에서 날밤을 새고 난 뒤 다음날 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 때문에 그는 무려 4번이나 이혼당하며 불안정한 개인사를 보냈습니다.
이렇게 방탕한 사생활을 보내면서 골프에 집중하지 못한 것과 더불어 그의 많은 기행으로 인해 PGA 사무국으로부터 수많은 경고 및 근신 처분 등을 받으면서 대중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게 되지요.
2004년 뷰익 인터내셔널 대회 우승을 끝으로 PGA 투어 우승과 더 이상 인연이 없었지만, 특유의 스윙과 장타로 인해 여러 투어에 초청받아 출전하면서 연간 5-6백만 달러를 벌어들이기도 한 인기 스타이기도 했습니다.
엄청난 재능과 실력을 겸비하였음에도 방탕한 사생활과 기행으로 인해 더 좋은 결과를 내지 못하고 이제 50대에 접어들면서 시니어 투어에서나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 더 이상 PGA 투어에서 볼 수는 없지만 그간 자신의 철없는 행동을 반성(?)하는 듯한 제스처와 함께 골프선수로 성장하고 있는 아들의 든든한 후원자로서 보다 성숙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그가 어떤 행보를 걸을지 기대가 되네요.
'골프 선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의 자랑 존람(Jon Rahm) (0) | 2020.11.15 |
---|---|
골프 스윙의 교본 아담 스콧 (0) | 2020.11.08 |
골프계의 패셔니스타 리키 파울러 (0) | 2020.10.26 |
20세기 골프황제 잭 니클라우스 (0) | 2020.10.21 |
필드의 악동 세르히오 가르시아 (0) | 2020.10.15 |